목표 : 1주차(~04/30) : 주제 확정. 필요 기술 서칭. 디자인/개발 뼈대 잡기
1주차 우리팀 스콥 :
1. 게시판 게시글 crud 만들기
2. 게시판 댓글 crud 만들기
3. 소셜로그인 구현
4. 자체 로그인 구현
5.프론트와 연결하기
현 진행상황 :
1. 백엔드 2/3완성
2. 백엔드 완성
3. 백엔드 완성(access 토큰 받아옴)
4. 백엔드 완성
5. 미완성
느낀점:
처음에 팀이 모였을때 주제를 다시 뒤집어 엎어야 해서 주제를 정하는데 오래 걸렸다.
많은 사람들의 아이디어가 나오다보니 실질적으로 우리가 할 수 있고 기간내에 만들 수 있는 것들 위주로 스콥을 잡느라 시간을 많이 보냈고 같은 기능을 얘기해도 받아들이는게 달라서 같은 그림을 보고 이해 할 수 있는 와이어 프레임의 중요성을 느꼈다. 차트 플로어나 와이어 프레임이 없이 나온 이야기들로만 api를 짜고 진행을 하려다보니 많은 변수가 있어서 일단 나온 이야기들로 임시로 와이어프레임을 짜서 팀원들과 이야기를 하고나니 서로가 다르게 이해했던 부분과 받아들이지 못했던 부분들을 추려낼 수 있었고 서로가 같은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었다. 그리고 앱 배포를 하는데 있어서 react native와 처음작업을 하다보니 배포하는 과정에서 최대 일주일을 잡고 같이 합치는 작업에서 어떤 문제가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작업을 하고 끝내기로 이야기를 끝냈다. 그리고 우선 처음 맡은 부분이 네이버 검색 api였는데 작업하다가 보니 유저가 많아지면 지금 작업하고 있는 부분에서 트래픽이 2배가 발생해서 비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프론트와 얘기하여 프론트로 넘기고 뒤에서 데이터를 받아와 중복체크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만 백에서 처리를 했다.
[이번주에 작업하며 배운것]
git bash 다른 포트가 열려 있을때
1. cmd에 들어간다 2. net -a -n -o를 친다 3.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포트의 pid를 기억한다. 4. taskkill /pid {해당 pid} or taskkill /f /pid {해당 pid}(강제로 종료시키기) 그러면 이제 내가 월하는 포..
leaphigher20.tistory.com
git bash 다른 포트가 열려 있을때
1. cmd에 들어간다 2. net -a -n -o를 친다 3.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포트의 pid를 기억한다. 4. taskkill /pid {해당 pid} or taskkill /f /pid {해당 pid}(강제로 종료시키기) 그러면 이제 내가 월하는 포..
leaphigher20.tistory.com
'Weekly I Lear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11주차 (실전프로젝트 3주차)(feat.항해99) (0) | 2021.05.17 |
---|---|
[W.I.L]10주차 (실전프로젝트 2주차)(feat.항해99) (0) | 2021.05.09 |
[W.I.L]미니프로젝트 2주차(feat.항해99) (0) | 2021.04.25 |
[W.I.L]항해99 미니프로젝트 1주차 (0) | 2021.04.19 |
[W.I.L]클론코딩 (feat.항해99) (0) | 2021.04.11 |